티스토리 뷰


얼마 전 1983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에서 다달이 펴낸 <우리 말과 삶을 가꾸는 글씨기> 회보에서 가려 뽑은 교실 일기를 수록한 작품으로 글쓰기회 선생님들이 30년 동안 교실에서 만난 아이들과 함께했던 이야기 <우리 반 일용이>를 읽어보았다. 그 이야기 속에는 따뜻한 마음과 순수한 동심으로 그릇된 어른들의 행동을 기꺼이 용서하는 아이들이 있고, 아이의 등짝을 내리친 후에 마음 아파하는 선생님이 있고, 학생에게 욕설을 듣고도 스스로를 자책하는 선생님이 있고,가난 속에서도 희망을 갖고 가족에 대한 애틋함을 가진 아이들이 있어 읽는내내 행복했다. 그 행복함을 다시금 느껴보고 싶은 생각에 그와 같은 맥락을 지닌 <<우리는 맨손으로 학교 간다>>를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은 "우리 말과 삶을 가꾸는 글쓰기" 회보에서 가려 뽑은 교실 일기들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자기의 삶을 바로 보고 정직하게 글을 쓰면서 사람다운 마음을 가지게 하고, 생각을 깊게 하고, 바르게 살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해 연구하고 실천하고 있고 있는 글쓰기회(머리글 中)의 의미를 느끼기에 충분한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었다. 1부는 교실에서, 골목길에서 아이들과 함께 지낸 이야기를 담았으며, 2부에서는 글쓰기 하며 마음을 나누고 를 통해 아이들과 선생님이 서로 마음을 나눈 이야기를 담아냈다. 학창시절 나는, 굉장히 조용한 성격탓에 존재감이 없었기에 선생님과의 좋은 기억이 없다. 그런 나에게 중3시절 선생님은 나의 미래를 진심으로 걱정해주었던 유일무이한 분이었는데, 이 책을 읽는동안 선생님 생각이 많이 났다. 지금은 어디에 계실런지. 무척이나 그립다. 이 이야기들은 시골학교를배경으로 한 이야기들이 많은데,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선생님과 아이들의 유대관계가 참으로 부러웠다. 생각해보니, 큰 아이의 초등5학년 담임선생님께서도 주말이면 아이들을 초대해 같이 시간을 보내시곤 했는데, 다른 선생님과는 차별화된 그 분의 모습이 낯설면서도 좋았던 것은 아마 아이들의 면면들에 관심을 가져주는 선생님의 진심을 느낄 수 있었던 탓일게다.그 마음을 아이도 아는지, 선생님이 되면 꼭 그 선생님처럼 되고 싶다는 말을 했다.선생님이 주신 사랑은 아이를 성장하게 하고 자라게 함을 나는 그 선생님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 매화꽃 향기와 매화차를 마시며 아침을 시작하는 교실,자유로움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맨손으로 학교에 등교하도록 해주는 선생님, 아이의 마음을 만져 주지 못하고 아이한테 자신의 얘기만 하는 스스로에 대한 자책을 하는 선생님, 아이들이 짱이라고 외쳐주는 소리에 밥 안 먹어도 좋은 선생님의 행복함, 아이들이 준 상장을 일기장에 붙여 두고 영원히 간직하는 선생님 등아이들과 선생님이 서로에게 의지하며 서로의 마음을 교감하는 이야기들이 나를 참 행복하게 해주었다. 1. 어른들이 시원하고 아이가 답답하게 자라는 것 2. 어른들이 답답하게 살고 아이가 시원하게 자라는 것 위 둘 가운데서 딱 한 가지만 고른다면? (본문 238p) 누구나 2번으로 고르지 않을까? 그런데 어른들은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어른 자신들의 잣대로 아이들을 평가하면서 스스로만 속 시원해지려 한다. 이 책 속에는 졸렬했던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며 아이들의 마음을 다독여주는 선생님의 이야기가 있다. 그렇게 스스로를 돌아보며 아이들과 함께하고자 노력하는 선생님들이 있어 아이들이 예쁘게 자라고 있었다. 오늘도 난 아이들을 나에게 끌어다가 맞추려는 잘못을 다시 반복했다. 무엇보다 아이들 마음을 귀하게 여기고 보살펴야 한다는 것을 또 잊고 지냈다. 끝까지 가르쳐 보겠다고 그런 것이 아니냐고 변명해도 소용없다. 그냥 내 욕심에 아이들을 다그친 것뿐이다. 내 양심이 그걸 안다. (본문 128p) 아침자습, 빠른 진도에 숨막히는 교실, 숙제, 준비물....학교는 빠르게 흘러간다. 잘 가르쳐주려는 선생님, 그런 선생님을 따라가려고 뛰어가는 아이들...자유, 여유가 없는 교실의 모습에 가끔은 숨이 막힌다. 맨손으로 학교에 갈 때 느낄 수 있는 여유가 없는교실에 앉은 아이들의 모습이 왠지 짠하다. 잘 가르쳐주는 선생님도 좋지만, 마음이 따뜻하여 아이들의 눈높이를 맞추어주고 기다려줄 줄 아는 따뜻한 선생님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경쟁사회 속에서 1등이 되기위한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가르쳐주는 선생님이 필요하다. 학교폭력, 왕따, 선생님과 학생들의 있을 수 없는 사건들이 종종 들려온다. 지금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사랑과 관심 그리고 기다림은 아닐까? <<우리는 맨손으로 학교 간다>>는 교실에서 보여지는 아름다운 사랑과 관심을 통해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이 따뜻한 온기가 우리 사회에 희망이 되어주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6학년 그 속에서 나는 함께 커 가는 사랑 이 가능하다는 것, 사랑으로 하나 되는 공동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고, 이는 지금 나에게 희망을 준다." (본문 172p)
30년 동안 글쓰기회 선생님들이 아이들과 함께 지낸 이야기다. 1983년부터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이오덕 만듦)가 발행한 글쓰기회보에 실린 글을 전부 읽고 고른 것이다. 우리 반 일용이 와 함께 글쓰기회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최초의 이야기집인 셈이다. 1부는 교실에서, 골목길에서, 또 들로 나가 아이들과 함께 지낸 이야기이고, 2부는 아이들과 글쓰기 하면서 서로 마음 나눈 이야기다. 돌아가신 이오덕 선생님의 동무들이 쓴 글이라서 책에는 이오덕의 글쓰기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멋 부리지 않고 사람이나 사건을 자세히 관찰해 쓰는 글쓰기가 무척 인상적이다. 아이들은 솔직하게 자기 이야기를 쓰면서 스스로를 존중하는 마음이 생기고, 비로소 제 삶의 주인으로 서게 된다.

머리글 아이들과 교사가 함께 자라는 글쓰기

1부 교실에서, 골목길에서 아이들과 함께
오늘 아침 - 이승희
모두 행복한 입학식 - 김경해
맨손으로 학교에 오기 - 노미화
봄나물 만나러 가자! - 이승희
한심한 1학년 선생 - 정인숙
종현이 시험지 - 박선미
3월, 힘들고 행복하다 -박소양
꾹 참아요 - 김은주
함께하는 공부의 달콤함 -전명주
체육 시간 - 박선미
우리 집에도 가 봐요 - 김숙미
청소 일기 - 이데레사
가정 방문과 아이들 모시기 - 주중식
내가 누리는 행복 - 이호철
여름 방학이 끝나 갈 무렵에 하는 일 - 이기주
씨앗 모으고 나누기 - 김종욱
숲 속 교실에서 읽은 비 오는 날 - 김숙미
출장 - 탁동철
우리 반 아이들 - 김광견
교사, 부끄러움을 견디는 사람들 - 신수진
학급 재판 - 윤태규
교실에서 주고받는 상 - 윤태규
내 손으로 놀이감 만들어 놀기 - 강승숙
몸으로 겪는 것만큼 - 김숙미
꼴찌도 아무나 하는 거 아니다 - 권보리
9년 만에 다시 만든 문집 이야기 - 이승희
작은 학교 이야기 - 이승희
고천분교 일기 1 - 강삼영
고천분교 일기 2 - 강삼영
고천분교 일기 3 - 강삼영
고천분교 일기 4 - 강삼영
고천분교 일기 5 - 이광우
고천분교 일기 6 - 강삼영
고천분교 일기 7 - 이광우

2부 글쓰기 하며 마음을 나누고
우리 반 민준이 - 정인숙
현지 - 김광견
엄마 브라자 - 이승희
아쉬운 12월 - 김숙미
우리 반 아이들의 숨기고 싶은 이야기 - 조민영
말대꾸를 마음껏 하는 아이가 자신 있는 사람으로 자란다 - 박문희
함께 가는 길, 아름다운 길_경쟁은 없다 - 주순영
서러운 아이들 - 김경해
학교 땡땡이치고 노니 재밌더나? - 김숙미
크리스마스 선물 - 이데레사